대한비만학회와 대한당뇨병연합이 지난 주 그랜드 워커힐 서울에서 공동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소아청소년 비만’ 문제의 사회적 관심 촉구와 법제화 추진을 위해 마련됐다.
소아 및 청소년 비만환자의 경우 사회경제적 여건이 좋지 않은 경우에 더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는 최근 10년 동안 식생활과 생활습관 변화 등으로 비만 환자가 급격히 증가했는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소아 및 청소년 비만율은 지난 10년간 10% 전후로 유지되다가 코로나 이후 15% 이상으로 급증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최근 5년(2017년~2021) 영양결핍 및 비만 진료현황 분석’에 따르면 비만으로 병원 진료를 받은 소아 및 청소년의 경우 2017년 2241명에서 2021년 7559명으로 증가해 17년 대비 2.3배의 증가 추세를 보였다.
소아청소년 시기의 비만은 성인비만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각종 질병과 합병증의 유병률 또한 높아지기 때문에 소아청소년 시기부터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하지만 그동안 개인과 가정의 의지 문제로 치부되어져 왔다. 소아청소년 비만 환자들이 지속적인 관리 및 치료를 통해 건강한 성인이 되기 위해서는 소아청소년 비만 환자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지원할 수 있는 법이 반드시 필요하다.
소아비만의 경우 판정하는 정확한 기준은 확립돼 있지 않다. 그러나 흔히 체질량지수(BMI)를 통해 비만 정도를 평가한다. 체질량 지수가 85~95 백분위 미만이면 과체중, 95 백분위 이상이면 비만으로 판정한다. 특히 소아비만은 지방조직 세포의 수가 증가하고 크기도 커져 피하층과 체조직에 과도한 양의 지방이 축적된 상태를 말한다.
소아 및 청소년 비만 치료에 대해 대한비만학회 소아청소년이사 홍용희 순천향대부천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소아 및 청소년 비만은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지방간, 고혈압, 동맥경화, 심근경색, 뇌출혈 등의 성인병이 조기에 나타날 수 있어 적극적인 관리 및 치료가 필요하다"면서 "집중적인 식사치료, 운동치료와 행동치료를 시행해도 지속적인 체중증가와 비만 동반 질환이 조절되지 않을 때 전문의에 의한 약물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대한비만학회 대외협력정책이사 박정환 한양대학교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소아 및 청소년 비만은 건강상 문제뿐 아니라 정신적인 문제, 심리적인 문제도 많이 동반된다. 저소득층 청소년에서 비만이나 2형 당뇨병이 보다 더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가족력, 유전, 사춘기 여부 등에 따라 위험도가 높아지므로 소아 및 청소년의 주어진 환경과 병력에 따라 맞춤 관리 및 접근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박철영 대한비만학회 이사장은 “소아 및 청소년 비만의 증가와 함께 국내 10대와 젊은 청년들의 2형 당뇨병이 급격히 늘고 있고 이를 막기 위해서는 더 늦기 전에 정책적으로 소아 및 청소년 비만을 해결하려는 제도가 꼭 필요한 시점이다. 10대에 2형 당뇨병, 고혈압 등의 비만 합병증이 발생하면 건강한 사회 생활에 지장을 받을 수 있고 평생 의료비 지출이 발생하므로 국가 의료비도 급증할 것”이라고 강조했다.